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부터 내 기록과 자료에 대해 나름 중요성을 생각하며, 잘 관리해 왔다고 생각 했다.
하지만, 2년 동안 큰 실수를 한게 있는데, 바로 사진이다.
매번 전시때마다 전시 사진을 기록으로 저장해 놓고, 작품들 이미지들도 빠뜨리지 않고 저장을 했었는데, 모니터가 아닌 출력물로 이미지가 쓰여지기 시작하면서 부터 그동안 저장해 놓았던 이미지들은 방법이 틀렸었다는 걸 알게 됐다.
이미지 해상도와 사이즈를 생각한 촬영이 아니라 단순 기록용으로만 생각해 왔던 터라,
출력으로 사용하기엔 색값과 해상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500만 화소급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에 똑딱이 카메라로 저장해 놓은 이미지들이 전시 이미지들 부터, 작품들 이미지 까지 내 작업이 출력물로 옮겨 졌을때, 그 느낌을 대부분 잃어 버리게 되는게 문제 였다.
지금 와선, 남아 있지 않은 작업은 다시 촬영을 할 수도 없고, 전시 이미지들도 다시 촬영할 수 없게 됐다.

2006년, 2007년 200여점을 기록해 놓은 자료들은 다시 수정을 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도메인으로 Gmail을 이용하는 Google Apps  (4) 2007.12.06
EPSON R2400 잉크 구입  (4) 2007.12.05
BANKSY (뱅크시) 에 대한 단편적 노트  (8) 2007.12.02
12월 둘째날 새벽  (2) 2007.12.02
12월 첫째날 아침  (2) 2007.12.01

사용자 삽입 이미지


뱅크시는 현대 미술관이 한결같이 하얗게 칠해진 공간 중앙에 작품을 놓고, 그 공간이 "바로 이것이 예술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이곳 미술관에 있기 때문이다" 하는 것에 MIND THE CRAP(오물 주의) 라는 페인팅으로 대답한다.
뱅크시의 작품은 갤러리의 하얀 벽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 사회성을 담고 있는 강렬한 이미지들은 사람들을 주목 시키고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힘을 갖고 있다.
예술의 상업화, 제품화에 거부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뱅크시의 철저한 익명성으로 사람들에겐 뱅크시의 익명성이 상품화 되기도 하고, 예술의 상업화를 거부하는 뱅크시의 작품이 갤러리의 하얀 벽에 걸려져 갤러리에 물질을 지불할수 있는 사람들과 만난다.
뱅크시의 작품에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뱅크시가 원하는 것 만큼의 진정한 예술의 가치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자신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줄수 있을 만큼의 이슈와 약간의 접근성이 아닐까?
화이트 예술을 오물주의로 치부하는 뱅크시는, 익명성의 철저한 그늘 속에서 철처히 계획된 장소와 페인팅으로 거대 집단과 대중속 획일화된 모순에 필요한 응답을 만들어 낸다.

정화조 속에 쌓여 있는 오물은 개개물이 쉽게 구분되기 어렵지만, 길거리에 노상방뇨된 오물은 수 없이 대중에게 노출된다.

노상방뇨에 익숙한 뱅크시는 익명성으로 인한 대중심리 이용에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효과의 하나로, 뱅크시를 모방하는 수없는 노상방뇨가 이뤄졌고, 익명성의 뱅크시는 미술관으로 회귀한다.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 수도 있겠지만, 미술관을 오물로 치부하던 뱅크시가 미술관 안에서 스스로 상업성, 상품성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뱅크시의 예술 운동에 예술가들이 동참하는 것이 발전된 모습의 예술의 형태이거나, 표현적 기법일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뱅크시의 운동이 담겨져야 할 공간은 갤러리고, 갤러리는 통하는 순수미술 작가들, 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게릴라성 아티스트들의 대중화? 일반화가 아니라, 갤러리의 공간이 더욱 대중화 되어야 하고, 갤러리를 통해 작업을 내놓는 작가들이 갤러리가 아닌 공간, 일반 사람들이 생활하는 공간으로 작업을 들고 나와야 한다.
이 사회적 공간에 채워지지 못한 예술의 대중화는 대중에게 맞는 새롭고 가벼운 예술을 창조해 내는 것이라기 보단, 기존의 예술이 더욱 대중에게 공개되며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 한다.
거리에 나오기 위해 작가의 작업이 거리에 맞는 그림으로 새로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갤러리에나 걸릴 수 있을 법한 작품들이 거리로 나오고 보여지는 것이다.
작가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생각과 과정으로 가득한 공간에서 작가는 단지 보여주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다.
나머진 작가 이외의 사람들 몫이다. 뱅크시도, "처음부터, 또 결국엔" 대중이 만들어 놓은 것이지 않은가~!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SON R2400 잉크 구입  (4) 2007.12.05
사진 이미지에 대한 중요성  (0) 2007.12.04
12월 둘째날 새벽  (2) 2007.12.02
12월 첫째날 아침  (2) 2007.12.01
Nikon D300  (18) 2007.11.25

좁은 공간에 120호 화판을 세워 놓고, 전기 방석에 앉아 뚫어져라 바라 본다.

이제 내 마음속에 있는 선들이 저 화판위에 펼쳐지고, 내 손을 그 선들을 따라 다니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건 아주 간단하면서도 보이지 않음에 무기력해질 수도 있는 정체된 시간이고, 공간이다.
생각하는게 많아질 수록, 단순해지기 위해 바둥 거리고,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생각과 소리는 무작정 피하게 된다.

바닦에 깔아놓은 캔트지위에 콘테 가루를 뿌리고, 부~욱~... 부~욱~~ 그어 대다가, 시간이 너무 많이 흐른건 아닐까~? 하는 걱정으로 자기 이불 위에서 자고 있는 샴비를 무릎에 눕히고, 유화집을 한권 펼쳤다.
사진속에 이미지들은 작가의 선과 채색, 의도하지 못한 시간의 무게로 갈라진 불규칙적이면서도 아름다운 균열들이 보인다.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창작된 이미지가 아니라 시간이 남겨준 균열들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불안하기 때문에 아름답다.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이미지에 대한 중요성  (0) 2007.12.04
BANKSY (뱅크시) 에 대한 단편적 노트  (8) 2007.12.02
12월 첫째날 아침  (2) 2007.12.01
Nikon D300  (18) 2007.11.25
이유 없음  (4) 2007.11.25
하루라는 고양이 사진을 보고, 샴비 사진들을 다시 들춰보고 싶은 마음을 참지 못해
포스팅까지 하게 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사진은 샴비를 입양하고 나서, 다음날 아침이다.
이불이 필요할것 같아서,여름 이불을 잘라 미싱기로 후다닥 만들어 줬던 저 이불은 아직도 샴비가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사진도 입양 둘째날 사진이다.
고양이들 성장에 대해 잘 몰라서, 3개월째 내게 입양됐던 샴비의 덩치가 길에서 보이는 다른 녀석들과 비슷비슷해 보여서, 고양이는 3개월만 되도 성인이 되는 줄만 알았다.
그래서 저 털빛을 계속해서 갖고 있을 거라 믿었다.
백색의 샴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샴비에게 만들어 줬던 이불과 베개 그리고 장난감 인형들...
이불과 베게는 아직도 사용하고 있지만, 인형들은 곰인형과 토끼 인형만 남아 있고, 다른 두마리는 샴비의 이빨에 갈기갈기 찥기고 먹혀서 사라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사진은 작년에도 올렸던 사진인데, 푸마 샷이다.
나름 오리지날 샴마 티셧츠다.
셧츠가 작은건지 로고가 큰건지,, 꼬리 로그는 겨드랑이로 튀어나와 있다.

지금은 흰색 털빛이 대부분 사라지고, 발리니즈 특유의 털빛으로 변해 있다.
입양을 받을때 샴종이라는 말을 들어서, 다른 샴종과 털길이나 빛이 틀려서 그냥 믹스이겠거니~ 하고 생각했었는데, 이녀석이 발리니즈 종이였다는건 전 주인도 몰랐다고 한다.
전주인에게 있어선 함께 키우던 페르시안 종에 대한 애정이 더 컷고, 애기때 부터 몸이 약했던 페르시안 때문에, 뛰어 다니길 좋아했던 샴비가 밉상 이었던것 같다.~^^;
덕분에 샴비는 내게 올수 있었고, 녀석은 나와 잘 맞는다.
잘못하면 혼나고, 격한 잡기 놀이와 물기 놀이에도 항상 나보다 더 좋아하며 즐거워 하는 모습이
세상 모든 것에 이유가 필요하지 않다는걸 말해 주고 있다.

'my ca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샴비 목욕  (10) 2007.12.16
쭉~쭉 샴비  (6) 2007.12.06
위로 보기  (4) 2007.11.25
의자위에 샴비, 샴비아래 의자  (2) 2007.11.17
샴비는...  (2) 2007.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