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 늦게 서울에 도착을 했다.
몇 년 동안 이번 추석 만큼 집에 오래 머물러 있었던 적이 없었는데...
매년 설과 추석때나 내려가는 속초가 그리 편하지만은 않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번엔 전과 같지 않은 편안함으로 머물러 있을 수 있었던게,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도
기분좋은 시간들 이었다.
속초가 그리 큰 도시가 아닌데도, 그곳에 이마트가 있고, 마트 안에서 유독 눈낄을 끄는
고양이 사료를 보면서 속초에도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있긴 있구나~ 했었는데,
키우는 고양이 들은 도시에 집고양이와 같은 것은 아니라는 걸 봤다.
저녁땐 폰카로 찍은 녀석들 사진을 좀 올려 봐야지...

1. Cat human

3 years ago, I disappeared. I disappeared from my friends and family. And I locked myself in my small room. No TVs, no cellular phones. I was afraid of going out of the room, even to the supermarkets around the area. After I lived like that for one and half year, just when I started to get bored and to think about stepping outside my room, there came this cat. I was left with a cat which one of my remote relatives suddenly brought me.

I had to take care of it. At the beginning it was so weird and interesting to see a cat around my room. So I began to draw it. As the time goes it became a part of my everyday and in my drawing the cat actually became united with my self portrait.

-A Cat human

In my drawing, the eyes of the cat are looking different directions or firmly closed. Its figure and legs are abnormally bent or crooked. The objects(a house, bed, plant, space etc.) are broken or combined with the body of a cat.  

The Cat human has become no more a cat neither a human. This weird and unknown creature sometimes fills up the picture obsessively or settles right at the center of the picture. The composition is often symmetrical that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 which was my major in university. The Mandala-like patterns inside the eyes are turning round and round like a saw-toothed wheel. Inside the confused eyes there is certain consciousness, but the world that the eyes are looking is too complicated to understand. Both the self and the world where the self belongs are creating an anxiety, but the anxiety actually comes from nowhere. The fact that you don't know where it come from creates the anxiety again.

 

2. Black lines digging into the inner side

The Conte pastel is fascinating medium. Its simple and instant. So usually, it used easily to make simple sketches and croquis. But I found contes could do more than that. When the lines lay on and fill the surface, it gets very unique depth, which cannot be made up by a brush. I feel more like scratching than drawing when I make simple lines repeatedly and obsessively. I draw lines, and spray the fixative(varnish+mixture) onto it, and then draws more lines on the top of it and so on. I repeat this procedure until I get the deep and rich black. The lines become the surface and space. It makes the texture of the hair of the cat and people often say its so touchable that they could actually stroke the cat;I had to find out to fix the contes perfectly so that it wouldnt be smudged out when they stroke the cat. I have tried various grounds, colors and fixatives and I will explore more materials. And I want to see what else I can do with contes.

 

3. Anxiety Virus

When I stayed in my room for one and half year, the internet became the only access for me to the outside world. I did web surfing and visited hundreds of blogs of others. And I found the vague anxiousness hidden in many of them. It gave me some kind of relief that I was not the only one who was unrest. Korea is a country blessed by the internet, everyone has their own online space. On the internet it is easier to talk about one's personal feeling such as anxiety with others just like everyday conversation.

The Anxiety Virus(2007) is a project began with the idea of communication. It involves both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 First I explored a thousand blogs. Then I sent my drawings to a few selected bloggers. I chose a certain work among my drawings for each of them. And they sent me back their messages which was either simple comments about my work or their own story about the anxiety. Each drawing has got an individual room that people can keep visiting. In each room w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comments or track-backs. It is an on-going exhibition that requires peoples participation. I dont want my drawings to be just one-way conversation but an access to anyone who will bring up their own story.

The Anxiety Virus is a project for me to look keenly the inner side of myself. It is also an opportunity for me to step backward from myself and contemplate my inner side as well as my works. Im going to continue the project for 3 years. 

For an artist, the art work is a language. (S)he communicates with others in the work, and I think the Anxiety Virus project maximizes this idea of communication. My work was started from a private and personal story.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not just a story of mine. People derived their own stories from my work. Ones anxiety does not just belong to oneself. - This is the main concept of my work.

*성유진 작업노트 - http://www.sungyujin.com/652

'ART 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과 함께 외출하기 중 alienation  (4) 2008.02.25
성유진 작가 약력 및 작품소개  (0) 2007.11.26
성유진 작업노트  (2) 2007.09.22
DAIMARU (ⅲ,ⅳ)  (2) 2007.08.17
DAIMARU (ⅰ,ⅱ)  (0) 2007.08.17

예술가들은 작업을 통해 소통하고자 한다. 그들은 작업을 통해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나는 불안 바이러스가 이러한 소통에 대한 생각들을 극대화 해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림 속의 이야기는 내 개인적 이야기로 시작되지만 그것은 단순히 나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1.       고양이 인간

3년 전 나는 도망쳤다. 친구와 가족들로부터 사라지고, 내 방안에 스스로를 가둬버렸다. TV도 없었고, 핸드폰도 없었다. 동네 슈퍼에 가는 거 조차도 두려웠다. 1년 반 동안 그렇게 지내면서 그런 생활이 너무나 지루하고 심심하게 느껴 져서 외출을 시도했을 때, 고양이가 내 앞에 나타났다. 그 고양이는 나의 먼 친척이 사정으로 인해서 나에게 입양 보낸 아이였다. 처음에는 내 방안에 고양이가 있다는 것이 낯설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고양이를 그렸다. 그림 속의 고양이는 나와 함께 있는 고양이지만, 나와 고양이는 각각의 독립체였다. 고양이가 내 일상의 한 부분이 되면서 내 그림 속의 고양이는 나의 자화상에 합쳐졌다.

 

고양이 인간

내 그림 속에서 고양이 눈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보고 있거나, 굳게 닫혀있다. 팔과 다리들의 관절들은 비정상적으로 구부러지거나, 꺾여있다. 사물들(, 식물, 공간 등)은 일그러져 부서지거나, 고양이의 몸과 결합되었다.

고양이 인간은 인간도 고양이도 아니다. 기이하고 알 수 없는 존재는 그림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구도는 종종 대칭을 이루며, 내가 전공 하였던 전통 불화에서 나타나는 방식이다. 고양이 눈 속에 만다라 형상의 패턴이 톱니바퀴처럼 돈다. 현혹스러운 눈 안에 의식은 있지만, 그 세계는 너무나 모호하고, 이해 할 수 없다. 나와 내가 속한 세계는 불안을 만들어 내지만, 그 불안이 어디서부터 오는지 알 수 없다. 이 모호한 것이 또 다른 불안을 만들어 낸다.

 

 

2.       내면을 파고 드는 검은 선

콘테는 매력적인 재료이다. 단순하고 즉흥적이다. 보통 콘테는 간단한 스케치나 크로키로 사용 된다. 하지만 나는 좀 더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발견했다. 선으로 표면을 채울 때, 붓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깊이를 준다. 반복적이고 강박적인 선들이 캔버스를 긁어내듯이 스치면서 그려진다. 선들이 쌓여 면이 표현되면서 그 선들은 더 이상 선이 아니게 된다. 그 선들은 표면과 공간을 표현한다.

선들이 표현한 털이 덮힌 고양이 몸은 사람들이 그 고양이를 마주하면 만지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고 한다. 그래서 완벽히 마감을 해야 했고, 사람들이 고양이 인간을 만지면 더 이상 뭍어나지 않는 방법을 발견했다. 다양한 캔버스 천, 색상들, 마감법과 다양한 회사들의 콘테들을 실험하고 있다. 콘테를 통해서 좀 더 독특하고, 페인팅 못지 않은 완성도를 표현 할 것이다.

 

3.       불안 바이러스(‘Anxiety Virus’)

내 방에서 바깥 세상과 접근 할 수 있었던 것은 인터넷이었다. 웹 서핑을 하고, 1000개의 블로그를 방문했다. 그리고 나는 많은 블로거 중에 몇몇은 나와 같은 모호한 불안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것은 내게 안심과 같은 것을 주었다. 인터넷을 통해서 불안을 이야기 한다는 것은 다른 이들과 일상을 이야기 하는 것처럼 쉬웠다.

불안 바이러스(2007)은 이러한 생각들을 대화하고자 했던 프로젝트였다. 이것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전시를 모두 포함시킨다. 먼저 나는 1000여개 블로그를 돌아다니고 그들의 글을 읽었다. 선택 된 몇몇의 블로거들에게 내 그림을 보냈다. 각각의 그림을 개개인에게 보낸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내 작업에 대한 간단한 글이나 그들 자신의 불안에 대한 이야기를 내게 보내주었다. 이런 피드백을 위해 각각의 그림들은 독립적인 방들을 지니게 되었고, 사람들은 계속 방문 할 수 있다. 그 각각의 방들은 댓글이나 트랙백을 통해서 소통한다. 이것은 영구적인 전시이고, 사람들의 참여를 필요로 한다. 나는 내 그림이 한 가지 방식으로 소통되길 원하지 않고, 그들 자신의 이야기를 가지고 함께 소통 하길 바란다.

불안 바이러스는 내면을 바라보면서 내면의 공간에 안주하지 않고, 3자의 시각으로 나와 내 작업을 바라보기 위해 시작하였고, 3년의 기간을 두고 차분히 진행해 나갈 것이다.

예술가들은 작업을 통해 소통하고자 한다. ,그들은 작업을 통해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나는 불안 바이러스가 이러한 소통에 대한 생각들을 극대화 해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림 속의 이야기는 내 개인적 이야기로 시작되지만 그것은 단순히 나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사람들은 내 작업을 통해서 그들의 이야기를 찾고자 한다. “개인의 불안이 단지 개인에 한정 된 것이 아니다.”
이것이 내 작업의 근본적인 개념이다.


* Sung YU Jin - Artist NOTE - http://www.sungyujin.com/653

'ART 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유진 작가 약력 및 작품소개  (0) 2007.11.26
Sung Yu Jin - Artist NOTE  (2) 2007.09.22
DAIMARU (ⅲ,ⅳ)  (2) 2007.08.17
DAIMARU (ⅰ,ⅱ)  (0) 2007.08.17
020  (0) 2007.08.17
공모전을 한가지 준비 한다며, 일주일 전부터 준비를 했지만, 막상 마지막날 새벽까지 수정을 하고
정리하고~ 출력하고 하느라 여유있게 준비해 보자는 당초 계획이 수포로 돌아갔다.
내가 생각 했던 공모전 양식이라는 것이 단순 텍스트에서 판단되는 내용이 다는 아니라는 것에
다시 좋은 경험이 됐다는 생각이 든다.

처음 공모전에 응모했던 기억이 난다.
전시 기획 공모 였음에도 전시 기획에 대한 내용은 적지도 않았고, 이미지 10여장만 출력해서
파일철에 끼워 보냈던...
지금 생각해 보면 무슨 배짱이었는지, ( 사실 경험이 없어서 몰랐기 때문이지만... =.=)
이번에 준비 하면서는 어떤 그림들을 보여줄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공개하지 않았던 신작까지 넣자니 20매 짜리 파일철에는 어림도 없이 양이 많아 지고,
그래서 반디전과 N-space 에 걸었던 그림들 중에서 고르고 출력했다.
작년과 지금의 차이가 있다면, 이런 공모전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프린터에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이다.
사진의 퀄리티도 더 좋고, 집에서 바로 출력을 하지 못한다면 막판 새벽까지 수정을 할 생각은
하지도 못했을 것이니 말이다.
이번에는 EPSON 프리미엄 광택용지를 사용했는데, 기존에 사용하던 1만원에 50장 짜리 저가 용지에
비해 퀄리티 차이가 상당하다.
R2400 을 구입하고 나서 이번 만큼 요긴하게 사용한 적이 없었던듯...
출력을 하다 보면, 포트폴리오를 만다는 것에 인형을 만드는 것 만큼 재미를 들이게 된다.
출력물을 디자인 하는 것에서 부터, 종이 자르고, 사진 고르고 하는게 나름 재미 있다.
포트폴리오를 만드느라 이틀동안 작업도 못했지만, 공모전 준비를 했다기 보다, 포트폴리오를
만들었다는 알수 없는 소소~한 취미적 기분에 취해서 피곤함도 모르고 밤을 보냈다.




* 관련글
2007/07/19 - [A Day..] - EPSON STYLUS PHOTO R2400 잉크
2007/06/01 - [A Day..] - EPSON STYLUS PHOTO R24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