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산 설치 작업때문에 샴비혼자 집에 있었던 것이 속상했던 건지, 내가 돌아온 뒤로 이틀째 낮잠을 자지 않고 있다.
1박 일정으로 다녀오는 거라 아랫집 친구에게 보살핌을 맞겼었는데, 친구 말로는 자기가 문을 열고 들어가도 부비부비나 그르릉을 하지 않고, 무뚝뚝하게 바라만 봤다고 한다.
낮시간 내내 작업중인 내 옆을 서성이더니, 지금은 샴비침대 위에서 잠을 자고 있다.

샴비 자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포스팅을 하나 해야 겠다는 생각에 블로그에 접속을 했지만, 지금 자고 있는 모습을 찍자니 손에 묻은 콘테가루가 신경쓰여서 지난주에 찍었던 사진을 골라 냈다.

'my ca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루한 샴비  (12) 2008.02.17
샴비의 외출  (8) 2008.02.08
샴비의 짧은 외출  (21) 2007.12.25
박스 안에 샴비  (8) 2007.12.20
샴비 목욕  (10) 2007.12.16
부산에 내려갈때 마다 급하게 움직이고 올라 왔던 기억만 있어서 이번엔 조금 여유를 갖고 움직이리라 마음먹고 내려 갔다.
(결과는 지나친 여유는 없었고, 미세하게 여유로왔을 뿐이지만... 그래도 부산에 오뎅을 먹어 봤으니 만족 스러운 1박2일 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날 아침 6시에 서울에서 출발해서 9시에 부산에 도착하고, 프랑스 문화원에 설치를 마치고...
그리고, 작년 전시를 했던 대안공간 반디에 찾아 갔다.
2월 22일 부터 3월 2일 까지 반디 구출 작전 이라는 단체전이 열리고, 나는 그 단체전에 2점에 작품을 걸게 되서 작품을 반입할 겸, 또 반디 분들도 만날겸 해서 찾아 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안공간 반디의 굴뚝...
목욕탕 건물을 전시장으로 개조한 반디는 이전 목욕탕의 상징물인 높다란 굴뚝을 달고 있다.
덕분에 멀리서도 이 굴뚝을 보고 쉽게 찾아 갈 수 있다.

반디를 나와서 보일라 사무실에 찾아 갔다.
편집장님과 서진님, 사타님 작업실이 함께 모여 있고, 보일라에 상징 복길이와 보동이도 오랜만에 만났다.
보동이 친구라 할지, 복길이 수하들이라 해야 할지 모를 4마리 고양이들과 함께...
봉봉이라는 고양이는 샴비와 친구를 시켜주면 잘 어울릴 성격이었다.
부산에 오기 전부터 사타님과 부산 오뎅을 먹으러 가자는 약속을 한터라, 후다닥 준비를 하고 남포동 부산 오뎅을 먹으러 출발했다.
광안리에선 30분 정도 걸리는 거리로, 영화제 골목에 시계골목, 미술거리, 등등 골목마다 특색화된 거리 이름이 붙어 있었다.
그곳이 국제시장이라고 하는데, 너무 특색화만 생각해서 인지, 미술의 거리라는 타이틀이 붙어 있는 골목은 무엇때문에 그런 이름일까 싶어서 골목을 둘러 봤지만, 미술과는 좀 거리가 먼 문구용품 매장이 몰려 있는 곳이었다.

사타님과 먹은 부산 오뎅은 서울에선 맛볼 수 없는 진한 향이 있었다.
오뎅을 먹고, 사타님이 초등학교 시절부터 먹었다는 20년 전통 호떡을 먹었는데, 안에 내용물을 셀프로 넣어야 하는게 그 아저씨 호떡에 특징인듯 했다. 근처 다른 호떡들은 500원인데, 그 아저씨 호떡만 700원인건, 20년 전통에 자존심이자 질적 우월을 상징하는듯 했다.

다음날 서울로 올라오기 전 점심으로 다시 부산오뎅을 먹으로 국제시장에 찾아 갔다.
부산에 싱싱한 미역과 오뎅을 좀 사올까 했지만, 서울까지 들고 올라가는 중에 신선함이 사라질것 같아서, 포기 했다.
사진을 몇장 찍어 볼까~ 해서 자갈치 시장에 나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속초에서도 볼 수 있는 중간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속초에서도 볼 수 있는 통통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속초에서도 볼 수 있는 갈매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엔 시간이 된다면, 자갈치 시장을 구석구석 둘러 보고 싶다.
문어도 사고, 상어도 먹어 보고 ...
3월에 다시 내려가야 하는데, 그때 시간이 될지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부산 프랑스 문화원은 지난해 8월 대안공간 반디에서의 전시중 우연찮게 전시 문의가 왔었다.
프랑스 문화원에 걸린 작업들은 2007년 작업했던 소품들과 alienation 3점이다.
전시는 2월 1일 부터 3월 8일 까지 열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lienation 은 2007년 작업들로 이중 한점은 공개되지 않았던 작업이다.
또 한점은 이번 전시에 참여하기 위해 소장인에게 부탁해 함께 나올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월 1일 저녁 6시 30분 오픈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sung yu jin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사 발취(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권의 젊은 작가 중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거나 잠재력을 보이고 있는 57명의 회화, 사진, 미디어아트 등 300여점의 작품으로 꾸며지는 아트페어가 3월 5-10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에서 열린다.

미술 기획사인 H존이 주관하는 '블루닷아시아'라는 이름의 아트페어다.

한 국 출신 작가로는 최근 해외에서 호평을 얻고 있는 배준성과 김준, 이우림, 김남표, 한기창 등 29명이 참여하고 중국 작가로는 창신, 리우웨이, 미아오 샤오춘 등 10명, 일본 작가로는 사치구사 야스다 등 10명, 대만 작가로는 첸 징 야오 등 8명이 참여한다.

전시는 배준성 등 컬렉터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작가의 작품을 모은 VIP룸, 얼굴이나 인체의 이미지를 변경시킨 작품들은 모은 '매드 피겨레이션', 초현실 등 몽환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팬트아시아', 다양한 색감을 보여주는 '컬러 오브 아시아' 등 4개 구역으로 나눠 이뤄진다.

이대형 전시감독은 "기존의 아트페어와 달리 신진 작가를 발굴하면서 즐거움과 실험성, 미술품 쇼핑 기회까지 제공하는 전시공간으로 꾸밀 계획"이라고 말했다.

입장료는 어린이 4천원, 학생 5천원, 일반인 6천원이다. ☎02-722-7277. (사진설명 = 배준성의 렌티큘러 작품)

evan@yna.co.kr






sung yu ji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