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사촌 여동생과 함께 KIAF 한국 국제 아트페어를 다녀 왔다.
갤러리나 아트페어는 처음 접하는 사촌 여동생이 따분해 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했었는데,
3시간 정도 아트페어 전체를 돌면서 관람을 하는 중에도 크게 힘들어 하지 않고, 마음에 드는
작품들을 보며 자기 생각도 말하고 하는 모습에 기분이 좋았다.

KIAF 한국 국제 아트페어에 가장 큰 매력은 다양한 작품을 볼수 있다는 것이다.
활동성과 작품이 좋은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자극도 받게 되고, 내 마음에는 크게 와 닫지
않지만 인지도가 좋은 작가들에게서는 국내 화랑의 미술흐름을 읽게 된다.
어떤 면에서는 작가들 보다 비평가의 활동이 더 눈에 보인다는 것이 아쉽기도 하다.

지난번, 시립미술관에 마그리트전때 1층에서 전시를 하던 로베르 콩바스의 작품도 두점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립미술관에서 봤던 로베르 콩바스의 작품이 너무 좋아서, 사진을 한장 찍어 봤지만 작품 크기가
크다 보니, 사진은 느낌이 오질 않는다.

눈에 들어오는 또 다른 작가가 한명 있었다. Yoo Hyesook 이라는 여성 작가 인데, 해외에서
활동을 하면서 아트페어에 참여한 작품도 해외 화랑을 통해 소개 되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품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인데, 면 위에 연필선을 통해 털을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다.
이 그림은 두터운 털코트를 표현한 그림인데, 1센티도 되지 않는 선을 수천개? 그어 놓으면서 털이
입체감이 나게 표현되어 있다.

지난해 아트페어때 보다 이번에는 전시장의 공간이 두배로? 늘어 났다. 그러다 보니 모두 관람 하기
위해선 시간도 그만큼 많이 든다.
홀을 이어주는 통로에는 "좋겠다" 프로젝트 팀의 테이프 드로잉 작품이 붙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 홀에서 볼수 있었던 작품들은 영상 미디어 작품들이 간간히 보였고, 지금 삼성 리움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앤디워홀의 작품들이 상당수 전시 되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눈에 들어온 반가운 작품..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헛을 통해 알게되었던 강지만 작가의 작품이다.
강지만 작가는 이번 아트페어 이벤트중 하나인 Young Artist Portfolio Presentation 에 참여 하고 있었다.

KIAF 한국 국제 아트페어 에는 작품들 중 일본 화랑에서 들고온 작품들은 참~ 일본문화 스럽구나~
하는 작품들이 많았다. 귀엽고 깜찍한 잔인함 이라고 해야 할까! 잔인하면서도 귀엽다는 것은
참 아이러니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느낌까지 말이다.
아트페어에 작품은 많았지만, 이번 관람은 그렇게 힘들여 관람하지는 않았다.
더 많이 전시 되어도 좋겠다는 느낌!
화랑들의 부스 위치는 어떤 이유로 정해 지는 건지는 모르겠는데, 관람을 하다 보니 어떤 룰이 정해져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끼리끼리 모인다고 해야 할까?
Work po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2 악수/ 握手/ Handshaking
-악수(握手)에 관한 짧은 생각과 ‘시대정신’


나 는 이 글을 전적으로 조윤환작가에 대한 사적(私的) 호의에서 쓰고 있다. 그는 내가 아는 누구보다도 작업에 대한 열정을 지니고 있으며, 남다른 재능을 가지고 흙과 나무와 철 등 갖가지 재료를 넘나들며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작가의 그런 열정과 재능은 이제 막 작업을 시작한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근대 이후 산업사회와 자본주의체재가 만든 작가상을 뛰어넘어, 어쩌면 우리가 “예술가”라고 일컬을 때 의례적으로 떠올리는 그런  ‘고전적인 예술가상’을 떠올리게 한다. 때로 그러한 작가의 모습이 나를 감동시킨다. 하지만 바로 그 지점에서 나의 불안이 시작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오늘날, 넘쳐나는 정보의 세상에서 한 작품이 작가의 재능과 열정만으로 주위를 두루 감동시키고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런 의문은 비단 조윤환작가의 경우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어서 많은 젊은 작가들을 생각하며 던지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좋은 작품이란 무조건적인 열정과 재능만으로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여기서 조윤환작가의 작품을 하나씩 살펴보기보다는, 그의 한 선배로서, 조언을 하는 게 어떨까 한다. 즉 다소 상식적이고 추상적이지만, 나는 작가에게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부터 2007년 오늘까지의 국내외 미술사를 면밀히 살피는 일과, 당대의 인문학적 연구와 성과를 폭넓게 이해하려는 노력을 권하고 싶다. 그와 같은 미술과 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와 개념이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서 진부함을 떨치고 생생한 감동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 보기 때문이다. 이 작가의 경우, 조소예술을 함에 있어 기본적 조건이라 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이해와 친숙함’은 이미 한 경지에 있다고 장담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윤환 _ 힘내! _  브론즈 _ 66x24x14 _ 2007


 미술이 전통적으로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취해온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다. 그것은 미술이 ‘시대정신’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시대는 언제나 그 시대만의 체험과 감성을 지니게 마련이므로 거기에 ‘정신’이 반영되지 않을 수 없다. 이를테면 ‘악수’에 대한 후기산업사회의 체험과 감수성이 근대가 출발하던 시기의 그것과 같을 수는 없을 것이다. 더욱이 창과 칼의 시대와는 공감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그것이 다를 것이다. 그래서 가상현실이 현실을 대체하는, 이미지가 실제를 압도하는, 자연 이전에 인공물을 체험하는 이 시대에 예술은 또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고민을 나는 작가의 <자소상>에서 본다. 눈을 감은 채 두 손을 벌리고 있는 인물은 몸체가 없다. 몸체가 없는 얼굴과 수족의 허망한 몸짓과는 달리, <주름관>의 악수하는 손은 오직 연결로서의 기능으로 일관하고 있다.

“옷에 있는 지퍼의 작은 단위들이 서로 맞잡으려는 손들로 보였다.”는 작가의 말은 진정한 관계를 열망하는 작가의 심리를 표현하고 있다.

  나는 이러한 작가의 섬세한 관찰과 결합된 ‘시대정신’, 그리고 거기에 물질과 공간에 대한 작가의 주도적인 능력이 결합하여 앞으로는 보다 더 자신만의 신선한 창조적 작품이 나타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전시에 나온 작품뿐만 아니라, 이처럼 앞으로 전개될 작가의 작업을 상상하며 나는 조윤환작가의 첫 전시를 즐기고자 한다. _ 이 태 호 (미술비평/경희대 객원교수)

PS : 5월 15일까지 인사아트센터에서 조윤환 작가와 악수를 나눌수 있습니다.

인사아트센터 _ 서울 종로구 관훈동 188
약도보기
관람시간 10:00~ 19:00             (02)736-1020

『봄, 여성 그리고 화려한 외출 展』


■ 전 시 명 : 봄, 여성 그리고 화려한 외출 전
■ 전시일정 : 2007년 5월 8일~28일(3주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달 말일 전주에 가있는 목각인형 소품에 대한 전시 소식, http://www.sungyujin.com/530 을 접했었다.
그리고, 어제 교동아트 센터에서 전시 오픈을 하고 사진과 함께 도록 발송 연락이 왔다.
사진속에 보이는 모습에서는 소품 전 이라는 느낌 보다는 생활 디자인을 다루는 듯한 폭넓은 감각이
느껴진다.
서울 예술의 전당에 있는 아트샵의 경우 아트샵 내부를 상당히 고급스럽게 꾸며 놓았다.
판매를 하고 있는 아트 상품들의 질도 높아서, 일반 사람들 이라면 구경 삼아 볼수는 있어도,
그 안에 상품들을 구입하는 건 쉽지 않은 선택일 것이다.

교동 아트센터에서는 아트샵 소품전을 진행 하면서, 단순히 아트상품을 소개 하는 식의 간단한 전시를
기획한 것은 아니였다는 걸 사진으로 알수 있었다. (가볼수 없으니 어쩔 수 없겠지...)
지난달 오픈식과 함께 열렸던 오픈전 보다도 더 준비된 느낌이 든다.
지난번 전시와 이번 소품전을 볼때, 교동아트 센터라는 공간이 소화 할 수 있는 전시 형태가
공간의 활동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나올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0123456789
교동아트센터 기획전시 - 봄, 여성 그리고 화려한 외출

Work post
KIAF 한국 국제 아트페어 (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 - http://www.kiaf.org/
(참고로 파이어 폭스 사용자는 사이트 이용이 불가능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년 반복적으로 치뤄지는 크고작은 아트페어들 중, 꼭 봐야 할 전시로 한국 국제 아트페어가 일 순위다.
다른 이유는 둘째 치고라도, 회화 중심의 아트페어라 현재형의 작가들 작품을 한 장소에서 볼 수 있어서
큰 작극이 된다.
2005년 전시 때는, 아트페어 속의 화랑들에서 내건 작품들 중 젊은 작가들의 작품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이 눈에 들었고, 볼수 없었던 작품들과 화랑들이 내세우는 의도 만큼 작품 속에 들어 있는
작가들의 열정과 파워를 느낄 수 있었던 것이 작업을 해야 함에는 어떤 이유도 없다는 단순한 해답을
이끌어 주었다.
물론, 그런 생각들이 항상 유지되는 것은 아니지만, 궁극적으론 작업을 하기 위해서 돈을 버느냐..
돈을 벌기 위해서 작업을 하느냐.. 하는 차이중 어떤 입장을 머릿속에 박아 놓고 생활을 이어 가느냐
하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단순한 열정은 뭐 하나라도 이룬다고 했지만, 요즘 세상에서는 단순한 열정 만으로는 부족한듯 싶다.
무조건 적인 열정과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돈을 벌기 위해 예술을 한다 하고 말한다면, 이만큼 반감을 살만한 말도 없을 거다.
숭고한 예술을 돈을 위한 예술 이라니!!
예술은 오래전 부터 자본과, 권력을 이웃으로 함께 성장해 오거나 굴복하기도 했지만,
예술은 항상 숭고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예술인에게 있어선 더욱 그렇다.

작업을 위해서 돈을 번다고 한번 생각 해보면, 이것도 답은 명확하다.
작업을 위해서 돈을 벌고- 다시 작업을 하고 하는 것이 시대적으로 열악한 자본력을 바탕에 둔 젊은
작가들에게 필요한 것일까?
이런 과정을 겪은 작가들이 한결 같이 하는 말이 있다. " 자기 작업을 잃는다. " 라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5년 한국 국제 아트페어 에 갔을 때 사진이다.
이땐 사람들을 만나지 않고 지내던 시기 였지만, 내 자신에게 있어선 지금 보다 더 큰 힘이 있었던것
같다. 어떤 이유도 없었으니 말이다.
오늘 부터 아트페어가 열리는데, 오늘은 영부인 께서 오신다는 말때문에 일부러 피해서 내일 가기로
했다. 작년 광주 엑스포에서도 국회의원들이 오는 바람에 그들 주위로 쳐진 장벽 때문에 관람을 하지
못한 구역도 있었던 경험을 볼때, 이번에도 부스를 돌때 벽이 쳐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비용이 참... 이런 아트페어는 미술인들에게는 무료로 관람 할 수 있게 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줄줄이 아는 사람들을 통하고 해서 입장권을 구할 수는 있겠지만, 이런 부분에 있어서도
젊은 작가들은 끝까지 혼자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