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이 쉽게 없어지지 않아서 다른 병원을 갔다. 역시 이곳도 수술을 권했는데, 더욱 적극적으로
수술을 권하며 나중에는 피까지 뽑으며 수술 일정을 잡자고 말했다.
생각해 보니, 쉽게 낫는 것도 아닌 것 같다. 한달 넘게 통증이 있으니,... 외출하거나 작업할 때 진통제를
먹으면서 해서 그런지...
오후엔
그냥 걸어 다녔다. 재료 상자를 구입하러 외출 했지만, 지금 집에 들어가 봤자 통증과 불안함 때문에
아무것도 못할꺼 같아서 그냥 걸어 다녔다.
미간에 세줄이 생기는 걸 의식 할 때마다 평온한 표정을 찾으려고 노력하다 보니, 멍하니 아무생각
없어졌다.
저녁에 들어와서 밥을 먹고 나서도 속이 좀처럼 편해지질 않아서 대충 옷을 입고 산책을 나섰다.
아무 생각 없이 걷다 다리 건너 신호등에 멍하니 서 있는데,
건너편에 보이는 액자집이 보였다.
이 곳을 지나갈때 마다 힐끔힐끔 홈쳐보고, 전에는 액자 값을 알아보기 위해 한번 들렀던 곳인데, 오늘은
무슨 생각에서 였는지 한번 들어가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화방 입구에서 들여다 보니 대행히 아저씨는 작업을 다 마치고 정리를 하고 계시는 것 같았다.

간단한 인사를 하고 내가 하는 콘테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콘테 작업을 위한 캔버스는 두텁고 올이 미세하고 얽혀 있으며, 신축성을 줄이기 위해 합판 작업화
할때 물을 작뜩 묻히고, 천이 더이상 당겨지지 않을 때까지 당겨서 타카를 박는데, 이 작업도 하루에
50호 1점당 두,세시간이 걸리게 된다. 어떤 경우엔 천이 찢어지기도 하고 합판이 휘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캔버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활용해 볼 생각으로 이런 성질을 가진 캔버스가 있느냐고
물었다.
아저씨는 상냥하게, 얇고 아교처리가 되어 있는 단단한 아사를 가리키시면서 "이것은 동양화 작업을
하시는 분들이 쓰시는 건데, 이런게 적당하지 않겠느냐" 라고 하셨다.
난, 좀더 두껍고 뒷면이 젯소로 마감되어 영구성이 생겼으면 좋겠다 라고 말했다.
아저씨는 다시 이것 저것을 보여주시면서 천 종류를 특징과 재질, 작업방법들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다.
결국 썩 맘에 드는 캔버스천이 없어서
혹시, 제가 사용하면서 콘테 작업에 적합했던 천을 캔버스 천에 하신 것처럼 아교 작업과 젯소 작업을
해 주실 수 있느냐고 물었다.
아저씨는 사람 좋아 보이는 웃음을 보이시면서,
"저도 장사하는 사람이라 소량은 안되고 10마 정도면 제작해 드릴 수 있겠습니다."
가끔 선생님 이란 단어도 쓰시는데, 나이드신 분들께 그런 소리를 들으면 언제나 익숙치 않다.
이런 저런 대화가 오가면서, KIAF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나왔는데, 우리나라 미술 시장이 호황이라고
하셨다.
종종 일요일에도 늦게까지 작업하는 모습이 보였는데 그 모습만 보아도 알수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런 갑작스러운 호황기가 반갑지는 않다는 말을 덧붙이셨다.
이런 호황기 속에 어느 순간 침체기로 돌아서며 순식간에 미술에 대한 관심이 사그러들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요즘은 외국 작품 보다는 국내 중견 젊은 작가의 작품이 많이 팔리고, 학벌도 중요하다 하셨다.
보통 돈많은 고객들이 작품 보다는 "이 작가는 어디 출신이고, 어디 출강을 나가느냐" 묻는단다.
어디 학교 교수라면 너나 할 것 없이 2~3점씩 사가지고 돌아간다고 한다.
아저씨는 주변에 대학 졸업 후 작업실에 틀어박혀 작업만 하는 사람이 있는데, 작업물이 너무 좋은데도
쉽게 유통이 되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고 말씀 하시며,
나에게, "작업을 하면서 혹시 어디 출강을 하게 되거나 다른 일을 하더라고 붓을 놓지 않는게 그래도
가장 중요한 일 같다고, 그게 스스로가 이 길로 들어서기로 결심한 자세가 아닌가" 하며 이야기 하셨다.
당연한 말 한마디가 참 기분이 좋아졌다.
이야기를 마치고 인사를 하고 나가려는데,
"제가 도움이 많이 되어 드렷으면 좋겠어요?" 라는 말이 너무나 고마 웠다.
실험삼아 중간 수준에 캔버스 천을 한마 살때도
"혹시 50호 크기를 맞추려면 10cm 더 필요 할테니, 더 드릴께요 10cm 더 주나 안주나 저한텐
똑같거든요"

오늘 울적한 마음에 나서며 들렀던 액자집 아저씨와의 대화에서 위안담긴 긍정적 힘을 얻은건
몇 년 만에 처음인것 같다.
낯선 사람에게서 말이다.
사람이라는 개인적 느낌은 즐거움 보다는 무겁고 부담스러운 느낌이다.
작품을 보는 것과 사람을 보는 것이 이런 사소한 차이에서 시작하다 보니, 작품을 보며 받은
감동과 자극이 사람이라는 작가를 보며 사그러 들어 거추장 스러워 지거나, 그 반대로 작품에서
받지 못하는 강렬한 자극이 작가를 보며 받아 들여 지는 경우가 있다.
내 마음속에는 사람에 대한 근본적 부담이 남아 있다 보니, 작품과 작가를 별개의 것으로
바라 볼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래야 한다고 생각 한다. 작품에서 받은 좋은 느낌들을 작가와는 별개의 것으로 기억해야
작품은 작품이어야 한다는 근본을 따를 수 있는 것인데도, ...

인사동 거리를 걸었다.
휴머니즘적 메커니즘을 말하는 것을 기계공학도가 표현한다면 어떻까?
작품에서는 간혹 눈속임수도 필요하고, 유리 구슬안이 다 들여다 보이듯 엉성한 기계의 메커니즘이
보이지 말아야 할 부분도 있는듯 싶다. 미술계를 전공한 작가가 프로그램적 요소와 기계적 요소를
작품에 심어 놓는 것은 작품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 이전에 "나도 할수 있겠네~" 라는 말을 듣게
될지도 모른다. 오늘 함께 산책을 했던 친구에 말을 그대로 옮기면 그렇다.
한 작가는 미디어를 통해 접촉과 반응을 시도 했다.
누구나 사용하고 있을 법한 컴퓨터의 기본적 입력장치 그것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내 느낌은 ... 단순한 눈가림만 있을뿐, 과정도 결과도 없었다.
그래서 재미도 없었다.
개념미술은 어떻게 보면 어렵지만, 또 어떻게 보면 너무 간편하고 쉬운 것이라 아무나 생각 하고
아무나 할 수 있을 법한 것이된다.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예술이고 표현 이기도 하다.
아무나 할수 있다는 것을 아직 아무도 하지 않았다면 의미가 있겠지만 말이다.
고경원님의 " 나는 길고양이에 탐닉한다 " 에는 밀레니엄 고양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밀레니엄 타워 근처에서는 학교를 다니던 시절 봉축행사와 관련된 행사를 진행하면서
그 근처에 눌러 앉아 있기도 했고, 외출때도 자주 앉아 있던 곳이기도 했지만,
그곳에 고양이를 봤던 적이 없었다.

지난 토요일 호미 화방에 재료를 사러가는 길에 273 버스에서 잠시 내려 밀레니엄 타워에 앉아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01234

갑자기 등장한 노란 고양이는 저 자세로 서있더니 사진기를 들어 사진 몇장을 찍자 후다닥 도망을 갔다.
사람들이 앉아 있는 밴치 뒤로는 화단이 있었는데, 그 화단 사이를 누비며 노란 고양이를 따라 망또
고양이도 한마리 등장 했다. 둘다 아직 어린 녀석들이었는데, 목이 말랐는지, 전날 내린 빗물이 고여 있는
망가진 정원등 에서 물을 마시고 있었다.
어린 녀석들 사이에도 서열이 있는 건지, 노랑이가 먹고 나서야 망또가 먹으러 가는 모습이 재미 있었다.

길고양이를 볼때마다 생각 하게 되는 게 한가지 있는데, 막약..
저 녀석들 자리에 샴비가 서 있다면, 어떻게 보일까~ 하는 것이다.
재미 있다고 생각 하게 될지, 측은하게 생각 될지! 실재로 있어봐야 알겠지만,
머릿속으로 상상을 해보면, 단순하게 웃음밖에 나오질 않는다.

헛 (HUT)이 블로그를 오픈 했다. - http://www.hut368.com

블로그 오픈과 함께, 헛은 작가들의 포트폴리오를 트랙백으로 받는 다며 기존 갤러리나 화랑에
포트폴리오 접수 형식과 차별화를 두고 있다.
갤러리가 피드를 지원하고 있는 곳은 지금 까지는 네곳이다.

 
아트스페이스 휴 http://artspacehue.com

아트스페이스 휴 http://artspacehue.com

갤러리 진선 http://blog.naver.com/g_jinsun/

갤러리 진선 http://blog.naver.com/g_jinsun/

아트스페이스 휴 http://artspacehue.com              갤러리 진선 http://blog.naver.com/g_jinsun/


갤러리 루프 http://galleryloop.com

갤러리 루프 http://galleryloop.com

헛 ( HUT )  http://www.hut368.com

헛 ( HUT ) http://www.hut368.com

갤러리 루프 http://galleryloop.com                      헛 ( HUT )  http://www.hut368.com


이들 네곳이 대안공간성 갤러리라는 점에서 더 호감이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피드를 지원하는 블로그를 갤러리에서 사용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일반인들과의 접근성이나
갤러리의 전시 소식을 여러 메타 사이트를 이용해 더 많은 일반인들이 소식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RSS 리더기를 이용해서 전시 소식을 더 빠르게 볼수 있다는 것은 일단 일반인에게 가벼운 느낌으로
다가 갈 수 있는 부분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Article about 'Portfolio' 를 블로그를 통해서 블로그를 하는 작가들에게 트랙백을 받는다.
트랙백으로 모인 작가들의 포트폴리오를 헛 블로그를 통해 리스트화 되고,
작가들 자신이 직접 제출한 헛에 달린 포트폴리오 트랙백 링크를 타고 헛에 방문한 사람들이
작가들의 블로그로 직접 방문할 수 있게 된다.

작가들중 상당수가 포털사이트에 가입되어 있다 보니, 블로그를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도 거의 없다.
다만 사용 빈도가 얼마나 되느냐 하는 차이만 있을 뿐,
이 블로그를 통해 자신에 포트폴리오를 헛에 트랙백으로 제출 하는 것은 무엇 보다도
작가들 자신이 현재 보여 주고 싶은 것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헛에 포트폴리오 트랙백을 보낸 이후에 포트폴리오를 수정하고 싶을땐 언제든지
자신에 블로그에 포트폴리오 글을 수정만 하면 되기 때문에 헛에 제출된 포트폴리오 트랙백에는
언제나 작가가 직접 선택한 최신에 포트폴리오가 보여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