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 2008_0617 / 박정림展 / PARKJUNGLIM / 朴情林 / painting @ 갤러리 우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수요일 학교동기의 전시가 있었다.
족보상으론 할배로 불리는 성덕환 선배의 부인 이기도 하니까!... 촌수로 볼땐 할매가 되는건가?

이날은 이삿짐을 나르다 와서, 함께 했던 친구는 양쪽 볼이 쏙 들어가고 더위를 먹어서 속도 편치 않아서 전시 뒤풀이를 따라 가서도 편히 앉아 있질 못했다. 그래서 사진을 담당하긴 했지만, 찍어준 사진을 들춰보다 보니, 흔들린 사진이 많았다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시장에 도착 했을즈음, 작가 박정림은 오픈식 준비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개인전 첫번째 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만큼의 여유를, 입술 가득 품어 보이기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가와의 대화...,
손에는 다른 작가의 도록을 들고선, 갑자기 작업에 대해 묻고 싶은게 생각나서 뭔가를 질문했다.
사진기를 들고 있던 친구는 이 장면을 세컷 찍었는데, 한번은 내가, 다른 한번은 작가 박정림이 눈을 감았다.
눈을 감지 않은 사진이 바로 위에 사진인데, 이 사진을 본 선배는 안경을 밀어 올리는 손가락이 세번째 손가락이 아니냐는 추궁을 하기도 했다. 자세히 보면, 분명 두번째 손가락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날 전시장에는 내 눈에도 익숙한 학교 교수님들과 학교 분들이 많이 와 주셨다.
사진을 많이 찍진 못했지만, 밖에서 병일 오빠와 이야기 하던중 만난 주도양 오빠, 도양 오빠와는 난지 스튜디오2기 작가로 난지에 들어오면 신고식과 라면을 끓여 받치라는 압박을 받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림의 전시는 2틀 뒤에 끝이 난다.
작업 하는 분들에게서 흔히 듣는 말중 수 개월을 준비하고, 일주일을 전시하고 나서 찾아오는 공허함은 전시를 수십번 해도 항상 같다고 하는데, 정림은 그 시간을 사람을 통해 풀어 갔으면~ 하는 생각을 해본다.
전시의 필요성과 작업의 필요성을 조율해야 한다면, 전시보단 작업이 우선이어야 하는게 당연지사일테니, 수 개월 동안의 준비를 이 일주일 동안의 준비로만 생각지 않았으면 좋겠다.
매 순간이 선택의 저울 위에 놓여 있는건, 작가든 작가가 아니든 모든 사람이 같으니 말이다.


박정림 작가는 물었다.
"뭘 보고 있는거니?"

키보드를 두드리고 있는 지금 이순간, 난 샴비를 바라보고 있다.
당신은?







하려고 했던 포스팅은 안하고, 어제 다녀온 정림의 개인전 사진들을 메일로 보내주고, 현장에 나가계신 선생님과 짧막짧막한 문자로 대화를 했다.
선생님께서는 소장가치 충분한 그림을 폰카로 찍어 보내주시고, 하얗게 매마른 입술로 웃다가 입술이 찥어져 피가 난다.

하여간, 포스팅을 하려고 앉았다가 문자와 메일만 하다 잠을 잔다.
필요한 집기류를 인터넷 쇼핑으로 처리하다 보니, 배송 날짜가 서로 틀려서 작업을 하면서 정리를 하게될 듯 싶다. 진행하고 있는 두개의 작업물이 이곳에서 들어가고 있는 중이라, 7월초 까지는 난지에서는 분위기 적응도 할겸 60호 미만의 작은 작업만 할 생각이다.

몸이 부은 느낌인데, 살은 빠진거 같은 느낌..., 바지를 걷어올려 보면, 다리는 부어있고, 신체의 배런스라고 해야 하나? 균형이라고 해야 하나???

선생님께선 지금 어떤 놀이를 즐기시고 계신 듯한 즐거운 상상을 만들어 주시는데, 난 그 상상의 틈 속으로 들어가진 못하고, 소설을 읽듯, 사진을 보듯, 선생님의 해해 발랄함에 함께 노래를 불러드리고 싶어할 뿐이다.
춤은 선생님이 잘 추시니까 난 박수만...,
졸립다. 현장에 계신 선생님의 건강을 생각하며, 난 지금 잠을 청한다. (이것도 뭔가 이상하잖아~ )







R2400  을 사용해 오면서 정품 카트리지와 무한 잉크를 번갈아 사용해 왔다.
출력 횟수가 1년 동안 6000장을 조금 넘게 했는데, 사진 출력 보다는 포트폴리오 출력이나 작품들을 출력해서 벽에 붙혀놓고 작업 단계를 바라 볼 수 있도록 해왔다.
출력은 보통 A4 사이즈나 A3+ 사이즈로 하는데, 정품 카트리지를 사용할 경우 9개 카트리지로 한개 잉크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출력을 하면 A4 풀사이즈 9장 정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 프린터를 처음 구매 했을때 번들로 딸려온 카트리지를 끼웠을때 A4 4장을 출력하고 한개 색상이 모두 소모되는걸 보고서, 정품 카트리지만을 사용하다간 포트폴리오나 작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격이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찾고 찾던중, 같은 울트라 크롬 K3 잉크를 생산하는 국내업체가 있어서 그곳 잉크를 100ml 씩 구매해서 사용해 왔는데, 1년간 사용해 보니, 그쪽 잉크는 정품 잉크에 비해 약간 어둡게 출력된다는 차이 외에 색상이나 잉크 번짐, 인쇄물의 수명에는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내고, 얼마 전 8개 색상을 1000ml 씩 구입했다.
대충 1년치 잉크량이 될듯...,

출력물의 해상도나 색상 표현력은 내 그림을 출력하는 거라 스스로도 많이 민감한 편인데, 지난 1년간 여러 종이와 다양한 포토용지들에 출력을 해오면서 비교한 바로는, 기본출력에 대한 차이를 알고만 있다면, 프로그램으로 충분히 조절 할 수 있는 부분이라 문제될게 없다는 거다.
모니터에 보이는 색값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작품의 디지털 이미지를 수정해 놓을땐 프린터 색감으로 맞춰서 놓는데, 이 파일의 인쇄소 출력과 비교 했을때도 이 프린터 색감과 거의 차이가 없는걸 봐선, 굳이 정품 잉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없다는게 내 결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웹에서 본 영상이 하나 있다.

영상을 보고 나서 전에 친구가 설치해 준 SSC Service Utility을 켜보니, 내 카운터는 10055로 나온다.
영상데로라면 나는 25000장이 남은거다.
이상한건 내가 출력한 횟수 보다 4000장 정도는 더 나온다는 거다.
그동안 포토용지 A4 5000여장에 A3 와 A3+ 를 500여장, 일반 문서를 500여장 정도에 헤드청소를 20~30여회 했는데, 프린터의 카운터는 그보다 많은 숫자를 보인다.
프린터 내부에 폐잉크가 모이는 패드가 있고, 그 패드에 잉크가 너무 많이 모여서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카운터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프린터 때문에 들여야 하는 돈을 생각한다면, 그 패드를 굳이 프린터 내부에 장착 할게 아니라, 외부에 장착해 소비자에게 패드에 대한 접근성도 주어져야 하는게 아닌가 싶다.

내 프린터의 경우 이 상태라면 아직 몇 년은 패드 교환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친구에게 도움을 청하든 어떻게 하든, 폐잉크를 외부로 뺄 수 있게 개조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난지 스튜디오 작업실에 입주 하게 됐다.
6월 10일 부터 15일 사이에 이사를 해야 하는데, 당장 작업중인 작품들이 있어서 시간을 넉넉히 쓸수는 없고, 6월 10일 하루에 모두 정리해 놓을 생각이다.
이사 라고 해봐야, 몇 년동안 그려온 그림들을 모두 들고 갈건 아니고, 그곳에서 필요한 제료들과 작업에 필요한 집기류 들을 이동하는게 전부인데, 난지 스튜디오 1년 5개월여 입주기간 동안 간단히 먹고, 가끔 자고 하는데 필요한 테이블과 의자들, 침구류와 사다리, 서랍장 들을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쇼핑몰 부터 해서 중고매장들을 돌아 다니느라 몇 일 동안 정신이 없었다.
오늘 까지 해서 서랍장 하나만 도착하면 이사 준비는 마치는 셈...,

기름값이 올라서 인지 콩테 가격과 마감제 가격이 40% 정도 가격이 올랐다. 수량도 안정적이지 못한데 가격도 올르다니...,
그래서 그동안 화방을 통해 구입해 오던 콩테 량을, 조금더 안정적으로 확보해 놓기 위해 FABER CASTELL 에이젼시 회사인 코모스에 직접 문의를 했다.
내게 필요한 콩테 48가지 색상중 파버사 6개 색상이 사용량 으로는 절반 정도를 차지 하기 때문에 이번엔 1년 정도량을 한번에 확보해 놓을 생각이다. 나머지 42개 색상은 화방에 주문을 넣을 생각인데, 500여 박스 정도를 계획중이라 가격도 만만치 않다. 올해는 필요한 재료 재고량을 확보해 놓자는게 년 초 계획이었는데, 욕심 같아선 5년 치 정도의 재고를 확보해 놓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돈만 있다면... @.@
몇 년간 서울의 대표적 화방 세곳을 이용하다 보니, 화방에서 판매되는 콩테 수량의 절반 이상을 내가 소비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다. 유통량이 유화나 목탄, 아크릴 같은 재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기 때문에 수입량도 적어서 가격 변동도 심한게 아닌가 의심 스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늘공원에서 찍은 월드컵 경기장


하늘공원은 말로만 듣고 가보진 못했던 곳이라, 스튜디오 공간좀 볼겸~해서 친구와 6호선 월드컵경기장에서 내려 하늘공원으로 걸어 올라갔다. 경기장에서 나오면 도로위 구름다리를 건너서 하늘공원으로 오르는 하늘 계단 을 올라야 하는데, 멀리서 그 계단을 바라보며 설악산에 있는 108번뇌 계단 생각이 나서
"저 계단도 108번뇌 처럼 숫자 적혀 있는거 아냐~ ㅋㅋ " 했는데,
역시나 숫자가 적혀 있었다. =.=
숫자는 108번뇌 보다 많았는데, 계단을 오르며 햇볕에 뜨거워 지는 머리에 신경 쓰느라 기억이 나진 않는다.

하늘 공원을 지나서 내려가면 커다른 굴뚝이 서있는 한국지역난방공사 옆으로 골프장이 있고 골프장 옆으로 난지스튜디오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팅을 하려고 컴퓨터를 켰다가  (10) 2008.06.13
EPSON STYLUS PHOTO R2400 무한 잉크로 교체  (20) 2008.06.09
백업용 외장하드  (16) 2008.05.29
포트폴리오 출력중  (10) 2008.05.28
FTTH _ 광랜 설치  (10) 2008.05.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