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maru

Conte 작업에 있어서, 내가 가장 걱정하며 실험을 했던 부분은 바로 마감에 대한 실험 이었다.
미술 재료로 사용되는 마감재 부터 해서, 공업용 마감재, 코팅재까지 화방과 을지로에서 사용해 볼만한 재료들은 모두 사용해 봤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기존엔 광목천을 기본으로 해서, 광목천의 최대 한계 올 수라는 30수 광목천까지 (이것도 동대문 일대에서 구할 수 있는 얼마 되지 않는 품종이었다.) 기본 광목천에 대한 마감이 생각 보다 쉽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고, 천 종류를 바꿔 보자는 생각에 을지로와 동대문 일대를 돌아다니며 천을 구입했다.
1년 정도를 천에 관심을 두고, 작업을 하던중, 찾게된 daimaru 천은 기존에 내 나름대로 구축해 놓은 마감 비율을 테스트 하기에 적합한 천이었다.
이 천을 테스트 해보기 위해, 구입을 할때 다른 천들에 비해 고가 인데다가, 공장에서 롤단위로 밖에 구입을 할 수 없었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실험용 천으로 50미터 한롤을 구입했다.
이 천에 대한 마감을 테스트 하면서, 천의 신축성 때문에 참 독특한 마감비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하게 됐다.

가끔 내 콘테 작업에 대한 마감방법을 궁금해 하며 질문 하는 분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때 마다 그냥 바니시를 사용한다고 말을 건낸다.
하지만, 이게 모두는 아니고, 조금더 구체적으로 말하기엔 그 방법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에 진실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천에 대한 질문 또한 그렇다. 이 천을 찾기 위해 들인 돈이나 시간을 생각하면, 알려주지 말아야지~ 하는 생각이 들지만, 기본적인 미술 재료의 틀안에서 학습하다 또 다른 자신의 재료에 갈증을 느끼는 사람을 만나, 내가 그 갈증에 자극 받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찾을 수 있는 이 천에 대해 입다물고 있을 이유는 없다.

다이마루 천은 이중천에 조합된 천이다. 어찌 말하면 다이마루 라는 말도 내가 사용하는 말 일뿐, 천 시장에서 다이마루는 아주 흔한 천으로, 어떤 조합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콘테 사용에 적합할지 아닌지 결정된다.

다이마루 조합을 지금은 두가지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가지 방법은 단종된 천이 사용되어야 해서, 그 천을 어떻게든 확보할 수 있는데로, 최대한 확보해 볼 생각이다. 천 시장에서도 많이 사용되지 않는 천이고, 미술계쪽에서 사용되는 재료도 아니다 보니, 적절한 재고 확보가 중요한 재료라 할 수 있겠다.

daimaru 천에 대한 이야기는 블로그에서 여러번 해 왔는데, 뜻하지 않은 새로운 이야기를 들어서 생각하고 있던 내용을 적어 봤다.
내가 거래 하고 있는 화방 아저씨 께서 성신여대를 졸업하고 근처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어떤 분이 액자를 위해 화방에 있던 내 작업과 천을 보고, 관심있어 하면서 재료 구입처를 알기를 원한다는 분이 있었다.
오래 전 부터 내가 갈망하던 일중에 하나는, 같은 재료, 비슷한 생각의 울타리 안에 있는 작업하는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이다.
직접적으로 재료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구할 수 있는 루트를 찾는 사람을 알게 된건 (만나본건 아니지만,...) 이번이 처음인데, 화방 아저씨를 통해 천을 구매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보다는 오히려 내게 직접적인 연락을 한다면, 조금더 좋은 이야기들을 나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구입루트는 알려주지 않을 생각이다.
전에도 어떤 분이 천에 대한 궁금증으로 블로그에 질문을 남겨서, 간단히 설명을 해드린 적이 있긴 하지만,
작업이 작가 자신의 작업이듯이, 작업을 위한 과정도 스스로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학교에서 배운 메뉴얼 방식이나, 선배 작가들로 부터 전해 들은 현장 경험이 들어간 메뉴얼 같은 것 보다 더 값지고 의미 있는 것이 될거라 생각 된다.




'ART 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rything  (8) 2008.11.26
샴비야 언니가 비밀 이야기 해줄까~!  (10) 2008.10.24
가슴을 후벼파는  (2) 2008.07.06
SeMA 2008 _ 서울 시립 미술관 설치 작업들  (0) 2008.04.29
save yourself 외 skape 전시중 작업들  (8) 2008.04.22

참여작가 : 김영섭, 박대성, 박은하, 이재헌, 정상현, 정직성, 주도양

오늘 행사는 시립미술관 지하 세미나실 이었고, 진행 장소가 어두워서 사진을 찍지 못했다.
빌린 사진으로 포스팅을 대신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영섭 작가 발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영섭 작가 발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대성 작가 발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은하 작가 발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도양 작가 발표

오늘 워크숍은 생각 외의 현실성과  진지한 의제, 그것들의 논의로 뜨거웠던 4시간내내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었다.
조금의 할말이 더 있지만, 잠시 누워 있어야 겠다.
3시간 뒤로 예약해 놓고, 그때까지 일어나지 못하면, 수정없이 포스팅을 끝내야 겠다.







저녁을 먹어야 했는데, 아침에 끓여놓은 국도 다 먹고 해서, 냉장고 안에 있는 코다리로 국을 끓였다.
마침 이웃 블로그를 돌다가 음식 포스팅을 여럿 보고, 음식을 하면서 사진을 찍어서 포스팅 하자~ 맘 먹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코다리는 생태를 반 건조 시킨 거다.
적당히 잘라서 담궈만 둬도 먹음직 스런 모습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채는 적당한게 없어서 파와 청량고추, 양파, 표고버섯을 넣었다.
간장과 소금, 고추가루를 적당히 넣어 마무리 하면 20분 만에 코다리 맑은국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원하고 가벼운 맛?

저녁 준비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라유슬 언니가 문을 열었다.
김윤아언니가 초밥을 사오고 있다며 같이 먹자는 말을 해서, 방금 끓인 국은 다시 뚜껑을 덮었다.
가볍고 시원한 국은 밤참으로 즐겨야 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1234

나를 중심으로한 시계 방향  나,준이,민기,정현,수호

어린아이들과 함께 놀아 본 것은 조카 밖에 없다.
조카도 사실 내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말을 잘해서 내가 오히려 조카한테 혼나곤 하는데,
4명의 어린이들이 내 작업실에 발을 들이는 순간 뒷통수가 푸른 물결이 이는 것을 느꼈다~(싸악~~~)



미술관에서 나눠준 책자를 들고 시작 했는데,
첫 페이지가 미술 기자가 되어 작가에게 질문을 하는 거였다.
다들 궁금한게 없다고 해서, 설득을 해서 질문을 만들게 하고, 관심 없어하는 아이들에게 작업에 대한 설명과
작업실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다.
다음 단계가 작가의 작품을 관찰하고, 자신들도 작가의 입장이 되어 그림을 그리는 거였다. 아이들이 자아에 대한 것이 어렵게 느껴질 꺼 같아 좀 더 폭 넓게 자신이 좋아하는 거 자신을 말해 줄 수 있는 것에 대한 걸 적게 하고 그림을 그리게 했다. 남자 아이들이라 그런지 다들 스포츠를 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리고 있었다.
시기가 시기 인지라 올림픽의 영향인지 그림도 스포츠고, 아이들의 대화 내용도 스포츠 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가 그치면서 야외 수업이라는 명목하에 토끼를 보러 밖으로 나왔다. 밖으로 나와 토끼를 찾으러 뛰어 다니는 아이들은 이슬을 보고, 풀을 보고 잠자리를 보면서, 슬그머니 다가와 자신들의 이야기도 하고, 이슬에 비친 풍경도 바라보고, 조형물에도 올라갔다 내려 갔다 하면서 더 신나 하는 것 같았다. 10분 정도의 야외 수업이었지만, 아이들과 손을 잡고 걷는 기분이 묘한 감동을 일어켰다. 배경으로 사운드 오브 뮤직의 음악이 흘러야 하는 분위기랄까?
실내에 있는 동안 이 아이들은 서로를 의식하고 있었던 것 같았다. 야외로 나오면서, 아이들은 각자가 실내에서 하지 않았던 이야기들을 질문을 하지도 않았는데, 스~윽 다가와 말을 해 주었다.

준이는 너무 뛰어 다녀서 그런지 가기 전에 코피를 흘리고 , 민기는 조용히 다가와 다음에도 올 수 있냐고 묻고, 두번이나 인사를 하고 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