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었던 전시를 기록하기 위해 포스팅을 남긴다.

전시 이미지 및 서문 - 네오룩 홍보자료 발취


김영실 개인展
공평 아트센터
서울 종로구 공평동 5-1번지
Tel. 02_733_9512
2006_0621 ▶ 2006_0627

김영실_장지에 분채_172×134cm_2001

김영실_장지에 분채_172×134cm_2001

 


새롭게 탄생된 이미지 조어(造語) ● 이번 전시는 김영실의 첫 개인전으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작업한 것이다. 대부분 대작들로서 장지에 분채재료를 위주로 하여 그려졌다. 5년 동안 그린 그림들은 하나의 드로잉을 시작점으로 하여 초기에는 민화적인 요소들이 등장하다 점점 자신의 세계로 빠져드는 점입가경(漸入佳境)의 모습을 보이며 단계적 성향을 드러냈다. 필자는 그녀의 그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를 2001년부터라고 보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2001년 전의 작품들이 학습적인 태도로 일관된 것과 전혀 맥락이 다른 태도에서 접근한 것과 그렇게 변할 수밖에 없는 사연에서 뒷받침한다.

김영실_장지에 분채_148×78cm_2001

김영실_장지에 분채_148×78cm_2001



김영실_장지에 분채_209×148cm_2001

김영실_장지에 분채_209×148cm_2001


김영실_장지에 분채_209×148cm_2001

김영실_장지에 분채_209×148cm_2001



김영실은 서양화과로 들어가 1년 다니다 두 번의 학사경고를 받는 등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여 자퇴하고, 10년 만에 다시 복학했다. 복학 후 열심히 그렸지만, 모선생으로부터 “너의 그림은 시들은 채소다.”라는 비판과 졸업심사는 3차에 걸쳐 떨어지는 등 매우 힘든 과정을 겪게 된다. 학교는 겨우 졸업했지만 엄청난 실의에 빠져 자포자기에 이른다. 이후 방황하다 그 기억은 희미해지면서 새로운 분위기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해 대학원을 동양화과로 들어간다. 지나친 편견과 이성적/논리적 상황이 아닌 자유로운 노마드적 상황(동양적 사유)으로 놓이게 되면서, 이때부터 “될 때로 되라!”는 식의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게 된다. 비로소 색다른 환경이 여백을 채우기 식의 필연적 상황이 아닌 몸과 사유가 움직여지는 대로 그려지는 허허벌판의 빈 놀이터가 생기게 된 것이다. 제도나 사고의 제약이 없는 그런 평온하고 자유스런 상황에서 가장 신체적 접근이 유용한 일종의 낙서가 시작되고, 그 낙서는 일기와 함께 조형적 언어로 김영실로 하여금 새로운 그림으로서 전환점을 갖게 된다. 낙서의 행위는 드로잉으로 전환되면서 형상성을 찾아갔다. 그러한 시도 중에 한 순간 옛날부터 즐겨 그렸던 민화적 요소와 자신의 내적충동으로 상상된 조어들과 섞인, 묘한 형상이 하나의 환영으로 눈앞에 드리워 그 형상을 바로 화폭에다 옮기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이의 연상 점차 자유분방한 자신만의 영역 세계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김영실_장지에 분채_201×277cm_2003

김영실_장지에 분채_201×277cm_2003



김영실_장지에 분채_139×104cm_2003

김영실_장지에 분채_139×104cm_2003



김영실_장지에 분채_291×208cm_2003

김영실_장지에 분채_291×208cm_2003



그렇게 그려진 그림들이 세인들로부터 어떠한 평가를 받을지는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힘들었던 경험들의 과정이 애초의 그림과는 아주 상반된 그림을 그리게 되는 작용을 했다. 미술의, 창작의 운명적 만남을 꾀하고자 했던 작가로서의 꿈과 욕망은 사라지고 대신 오히려 ‘그림’을 둘러싼 신화와 오독 그 자체에 상처를 내는 행위로 드러난 것이 아닌가 싶다.<중략> ■ 이관훈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대 HUT 갤러리 방문기  (0) 2006.07.08
"Ego" 라는 사탕을 물다  (0) 2006.07.04
나를 알아 가는 것도 벅찰 뿐인데  (0) 2006.06.20
딱 하루 햇볕이 내리던 어제~  (0) 2006.06.16
쓰레기와 정보 사이  (0) 2006.06.12

'drawing _ Pa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일 스크레치  (0) 2006.07.01
보타로스 시리즈  (1) 2006.06.27
scribble..painter drawing  (0) 2006.06.17
scribble & Drawing 20060617  (0) 2006.06.17
머리가 복잡해  (0) 2006.06.17
인터넷은 어떤 것인지 참 뭐라 할 수 없는 모호함이 있다.
인터넷은? 글과 그림이 있고, 각가지 뉴스가 있는 곳이기도 하고, 이런 것들을 모두
정보라고 한다면, 단순히 정보가 있는 것이 인터넷 이라고 할 수 만은 없고,
내가 가장 중요시 하는 건 느낌이다.
이 느낌 이라는 것은 내가 걷으며 듣고, 보고 하는 이 도시에도 있고, 사람들 중에도
간혹 있고 책에도 있다.
그리고 인터넷에도 있다.
좋든 싫든 어떤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지의 차이만 있을뿐 공허 할 수도 있는 전자
회로망과 자기장으로 이뤄진 그곳에도 느낌이 흐르고 있다.
느낌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는 방법이 가장 잘 전달 할 수 있는 것인가 보다.
난 그림을 그리면서 나에 그림으로 내 느낌을 표현 하고, 인터넷으로 존재하는 방대한
네트에 세상에는 모니터 화면으로 표현되어지는 무수한 것들로 부터 느낌이 전달 되어 진다.

나와 타인들 에 세상속에는 같은 공간에서도 서로 다른 느낌으로 받아 들이고 표현해 내는 아름 답고도 불안전한 세상이 또 존재한다.

미칠 듯한 속도감과 수많은 군중들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과 소속감을 얻어야만 만족할
수 있고, 편안할 수 있는 세상이 있듯이, 그런 세상속에 융합하지 못함으로써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나와 같은 세상도 있다. 페이퍼로 여러 세상을 읽어가던 시간 안에선 복잡
하고도 빠른 세상에 흐름에 혼란스러워 하고, 쫒아 가기 위해 허우적 거렸지만, 모니터로
전해지는 더더~욱 빠른 세상 속에선, 단 몇초만으로도 세상에 모습을 전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쫒아간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존재 한다는 것 자체도, 어쩌면 명왕성에서 지구를 바라 보기 위해 하늘을 바라 봐야 하는
입장이 되어 가고 있다.
"세상에 존재하면서 단 한명에 친구를 사귀는.." 것으로 인생은 성공 했다. 하는 말은 이미
옛말이 되어 가고, 요즘에 들리는 말들은, "나에 죽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몇일까? "  하는
영역에 대한 의미가 강해지고 있다.
나는 나에 영역을 확장 해야 하는 건지에 대한 의문! 내가 존재하는 여러 세상중 한부분에선
영역확장에 의미를 실천해 가는 타인들이 있지만... 난 영역이라는 것을 어떤 식으로 받아
들여야 하는지 정하지 못했다.

이 복잡한 모니터를 바라 볼때 마다, 내 세상을 생각하고, 그 안에 담아야할 내 영역을 생각한다.
난... 내 영역을 내 안에 존재하는 것 이상으로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나를 알아 가는 것도 벅찰 뿐인데, 밖을 바라볼 여유가 없다.

"스스로 나약해 지거나, 스스로 강해질때 좋은 그림이 나온다." 내 그림없인 어느 공간이건 그림으로 채울 수가 없다.

'A 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go" 라는 사탕을 물다  (0) 2006.07.04
김영실 개인展 - 2006_0621 ▶ 2006_0627  (0) 2006.06.21
딱 하루 햇볕이 내리던 어제~  (0) 2006.06.16
쓰레기와 정보 사이  (0) 2006.06.12
Botaros 의 정의  (0) 2006.06.09

painter drawing 은 어느새, 작가들과 illustrator들에 밥줄이 되어 있다.

'drawing _ Pai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타로스 시리즈  (1) 2006.06.27
기초화장품  (0) 2006.06.20
scribble & Drawing 20060617  (0) 2006.06.17
머리가 복잡해  (0) 2006.06.17
낙서  (0) 2006.06.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