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공공예술창작소 전시에 필요한 구상을 준비하며, 드로잉 작업을  스캔 했다.
스캔은 Epson V800 포토스캐너를 이용.

가끔 스캔 작업에 대한 디테일을 질문하는 경우가 있어서 포스팅을 해놓는다.

작품이나 드로잉을 디지털 파일로 만들어 놓기 위해서는 사진을 찍거나 스캔하는 방법이 유일한데, 애초부터 디지털로 작업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사진찍는 것과 스캔하는 것은 각각 장단점이 있다.

사이즈가 큰 경우 스캔을 위해서는 개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매우 고가의 아카이브 스캐너를 이용해야 하는데, 국내에도 그런 스캐너가 있긴 있다. 하지만, 말 그대로 대형 업체에서나 유지할 수 있는 커다란 기계고, 스캔을 위해 작품을 이동 시켜야 하는 것에서 부터 기본적인 고품질 스캔 비용이 개당 수십만원씩 나온다는 점에서 이용하기 어렵다. 그런 스캐너를 이용하는 경우도 대부분은 고품질 스캔은 비용이 비싸서, 저품질 스캔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미술 작품의 경우 저품질 스캔으로 3500만 화소 정도의 디지털 카메라 해상도 선에서 스캔파일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잘못된 방식이다.

작품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작업은 절대 다수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이용하게 되는데, 사이즈가 작은, 가로/세로 50Cm 미만 작업들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할때는 품질 좋은 망원 랜즈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그런 망원 랜즈들이 200mm 에서 600mm 까지 사용되어야 해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100mm 안팍의 일반적인 랜즈들로 촬영된다. 그러다 보면, 화각 전체에 담지 못하기 때문에 크롭을 하게 돼서, 3500만 화소든 6000만 화소카메라든 크롭으로 인해 사이즈 손실을 받게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A4 사이즈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시 2000만 화소 정도로 저장된다. 그것도 화각안에 최대한 담았을때나 그렇고, 화각안에 담기위해 중앙과 테두리 촛점이 어긋나는 것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스캔의 경우에는 개인이 접근할 수 있는 포토스캐너가 A3 정도 선이고, A3 포토스캐너만 해도 가장 저렴한 것이 350만원이다. 비용은 디지털 카메라 한대 가격인데, 큰 사이즈는 스캔을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스캐너의 경우 평판 스캔방식이라 전구간 촛점을 정확히 간편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과, 해상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1200ppi 고품질 스캔으로 진행하면 1억5천만 화소로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작은 사이즈 작품이나 드로잉의 경우에는 스캔으로 저장해 놓는 것이 훨~씬 큰 장점을 갖고 있다.

컬러를 맞추는 것도 매우 간단하다.
가정용 복합기나 사무용 스캐너들 처럼 jpg 나 tif 로만 스캔하는 것이 아니고, 담을 수 있는 밝기와 암부 영역이 매우 넓다.
복합기에 달린 스캐너나 사무용 스캐너들과 포토스캐너는 스캔 품질 자체가 다르다.
요즘의 폰카와 디지털 카메라 정도의 차이보다 더 심하게 차이가 난다.

작품 이나 드로잉을 스캔 할때 아카이브 성격으로 스캔 한다면, 복합기나 사무용 스캐너들은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담을 수 있는 컬러와 밝기 정보가 질이나 량에서 부터 다르다.

 


포토스캐너를 이용할때는 DSLR과 같은 RAW 스캔을 사용한다. 스캔시 스캐너 전용 컬러차트를 이용해 스캐너 프로파일을 사용하고, 포토샵의 ACR을 이용하면 컬러는 카메라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컬러차트를 이용해 화밸과 밝기/컬러를 교정한다.

캡쳐한 이미지에 붉은 영역을 스캔해서 비교해 보면...,

ppi 를 높일 수록 같은 크기에서 픽셀크기는 더 크게 스캔 된다.
무작정  ppi 를 높게 스캔하기는 어려운데, 드로잉의 경우에는 4800ppi 가 광학 해상도에서 지원하는 값이라, 포토샵으로 샤프닝을 좀 주면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고, 9600ppi 는 너무 확대 되서 사실상 디테일이 뭉게지게 된다.

디테일을 잃지 않으면서 정교하게 스캔할 수 있는 값은 2400ppi 정도인듯.

A4 정도 사이즈 드로잉을 스캔 할때 고품질 스캔이 필요한 경우라면, 2400ppi 로 분할 스캔해서 합치면 5억화소도 간단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전에 1미터 정도 되는 화첩을 스캔해서 35억 화소로 만들기도 했는데, 이런 파일은 인터넷 등에 외부에서는 100% 크기로는 사용을 못한다. 하지만 디테일이 좋아서 같은 종이에 고품질 출력하면 원본과 구분이 쉽지 않게 된다.

R2400  을 사용해 오면서 정품 카트리지와 무한 잉크를 번갈아 사용해 왔다.
출력 횟수가 1년 동안 6000장을 조금 넘게 했는데, 사진 출력 보다는 포트폴리오 출력이나 작품들을 출력해서 벽에 붙혀놓고 작업 단계를 바라 볼 수 있도록 해왔다.
출력은 보통 A4 사이즈나 A3+ 사이즈로 하는데, 정품 카트리지를 사용할 경우 9개 카트리지로 한개 잉크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출력을 하면 A4 풀사이즈 9장 정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 프린터를 처음 구매 했을때 번들로 딸려온 카트리지를 끼웠을때 A4 4장을 출력하고 한개 색상이 모두 소모되는걸 보고서, 정품 카트리지만을 사용하다간 포트폴리오나 작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격이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찾고 찾던중, 같은 울트라 크롬 K3 잉크를 생산하는 국내업체가 있어서 그곳 잉크를 100ml 씩 구매해서 사용해 왔는데, 1년간 사용해 보니, 그쪽 잉크는 정품 잉크에 비해 약간 어둡게 출력된다는 차이 외에 색상이나 잉크 번짐, 인쇄물의 수명에는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내고, 얼마 전 8개 색상을 1000ml 씩 구입했다.
대충 1년치 잉크량이 될듯...,

출력물의 해상도나 색상 표현력은 내 그림을 출력하는 거라 스스로도 많이 민감한 편인데, 지난 1년간 여러 종이와 다양한 포토용지들에 출력을 해오면서 비교한 바로는, 기본출력에 대한 차이를 알고만 있다면, 프로그램으로 충분히 조절 할 수 있는 부분이라 문제될게 없다는 거다.
모니터에 보이는 색값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작품의 디지털 이미지를 수정해 놓을땐 프린터 색감으로 맞춰서 놓는데, 이 파일의 인쇄소 출력과 비교 했을때도 이 프린터 색감과 거의 차이가 없는걸 봐선, 굳이 정품 잉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없다는게 내 결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웹에서 본 영상이 하나 있다.

영상을 보고 나서 전에 친구가 설치해 준 SSC Service Utility을 켜보니, 내 카운터는 10055로 나온다.
영상데로라면 나는 25000장이 남은거다.
이상한건 내가 출력한 횟수 보다 4000장 정도는 더 나온다는 거다.
그동안 포토용지 A4 5000여장에 A3 와 A3+ 를 500여장, 일반 문서를 500여장 정도에 헤드청소를 20~30여회 했는데, 프린터의 카운터는 그보다 많은 숫자를 보인다.
프린터 내부에 폐잉크가 모이는 패드가 있고, 그 패드에 잉크가 너무 많이 모여서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카운터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프린터 때문에 들여야 하는 돈을 생각한다면, 그 패드를 굳이 프린터 내부에 장착 할게 아니라, 외부에 장착해 소비자에게 패드에 대한 접근성도 주어져야 하는게 아닌가 싶다.

내 프린터의 경우 이 상태라면 아직 몇 년은 패드 교환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친구에게 도움을 청하든 어떻게 하든, 폐잉크를 외부로 뺄 수 있게 개조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